<포스트캐피탈 아카이브 1989-2001>를 통해보는 예술, 혹은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단상

<포스트캐피탈 아카이브 1989-2001>를 통해보는
예술, 혹은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단상

글  신보슬, designdb

바야흐로 이미지가 홍수를 이루는 시대다. 요즘의 서울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갤러리나 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의 시각예술 이미지는 물론, 세계 디자인 수도를 맞이하여 도시 곳곳에는 온갖 ‘디자인’ 이미지들이 범람한다. 그런데 여기에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도대체 이 많은 이미지들이 우리에게 말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그저 아름다운 작품, 아니면 예쁘게 포장된 간판과 도로 가판대, 혹은 공공성이라는 이름으로 미화된 공공미술은 그 아름답고 예쁜, 혹은 공공적인 존재 자체로 의미를 갖는가? 그저 색칠하고 새롭게 꾸미는 것이 예술과 디자인의 의미가 아니라면, 뭔가 꼼꼼히 따져봐야 하지 않을까? 이런 대답 없는 질문들이 막다른 골목에 부딪혔을 때, <포스트캐피탈 아카이브 Postcapital Archive 1989-2001>(이하 <포스트캐피탈>)라는 프로젝트를 준비하게 되었다.


그림 1. <포스트캐피탈> 프로젝트의 토탈미술관 전시 전경, photo by Hans D. Christ

<포스트캐피탈> 프로젝트는 2006년 바르셀로나의 라 비레이나(La Virreina)라는 아트센터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이후 이 프로젝트가 세상을 향해 내던졌던 질문에 비하면, 그 시작은 지극히 사적인 만남에서 비롯되었다. 쿠바에서 퇴출(?)당해 바르셀로나에 살고 있는 큐레이터 이반 데 라 누아(Ivan de la Nuez)와 스페인 프랑코 독재시기에 태어나 작가로 살고 있는 다니엘 가르시아 앙두하르(Daniel Garcia Andujar)가 우연히 한 자리에서 만나게 되었고, 그들은 자연스럽게 자신들이 태어난 사회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고 한다. 자신들의 삶을 이야기하던 도중 어떤 나라, 어떤 정권 하에 태어난다는 것을 개인이 선택할 수 없지만, 그로 인해 한 개인의 인생은 드라마틱하게 변화될 수도 있다는 점에 대해 많은 흥미를 느꼈단다. 그렇다면 오늘날 세계의 패러다임을 바꿀 정도로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 계기/시점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그들은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에서 2001년 911 사태에 이르는 시기에 집중했다. 그리고 이후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서 <포스트캐피탈>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에서 ‘포스트캐피탈’이라고 칭한 시기는 앞서 말했던 것처럼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어 사회주의정권이 무너진 시점에서부터 2001년 911사태로 이르는 대테러 시절을 말한다. 흥미롭게도 당시 많은 사람들은 이 시기를 ‘포스트 코뮤니즘(Post Communism)’이라 불렀지만, 자신의 댄싱 파트너를 잃은 자본주의를 보다 집중적으로 관찰했던 앙두하르에게 이 시기는 분명 ‘포스트 캐피탈(후기자본주의)’의 시점이었다. 물론 여기에서의 ‘캐피탈(Capital)’은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다. 자본주의의 캐피탈을 칭하기도 하지만, 수도/도시로서의 캐피탈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포스트캐피탈>에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이야기도 있지만, 도시에 대한 이야기, 자본에 대한 이야기들이 중층적으로 깔려 있다. 이 뿐 아니라, 전시되어 있는 사진, 동영상, 문서 파일 등을 모두 인터넷에서 가져왔다. 게다가 전시된 자료를 포함하여, 전시되지 않은 25만개의 데이터 파일은 모두 작가의 오픈 아카이브에 들어 있고, 관객은 각자의 외장하드를 가져와서 작품을 고스란히 퍼갈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자료들을 작가의 아카이브 안에 추가하여 넣을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많은 관객들은 묻는다. 이것도 예술이냐고, 작가는 과연 무엇을 한 것이냐고.

2006년 시작된 <포스트캐피탈>은 바르셀로나를 거쳐, 몬트리올, 도르트문트, 슈트트가르트, 산 호세, 코펜하겐을 비롯한 세계 순회전을 펼치고 있을 뿐 아니라, 2009년에는 베니스 비엔날레의 카탈로니아 파빌리온에 초청되기도 하였다. 그러니, 명실 공히 세계적인 현대미술계에서 인증 받은 예술 프로젝트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이 같은 공식적인 경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대미술작품으로 인정하기엔 마음 한 켠이 불편한 것은 아마도 전시장의 모든 자료들을 인터넷에서 다운로드받았다는 사실이 가장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그 러나 이 지점에서 작가의 입장은 단호하다. 우선 현대미술이 언제나 기존에 있는 것들에 대한 변형과 참조였다는 점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피카소의 게르니카에 있는 아프리카 가면들은 어떻게 해석할 것이며, 수많은 콜라쥬 작업들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이냐는 문제와 동일한 지점이다. 다만 변한 것이 있다면, 기존 예술에서 활용했던 매체인 신문이 아닌 인터넷에서 따온 이미지들이라는 점이다. 앙두하르의 입장을 따른다면 <포스트캐피탈>에 소개된 자료들은 인터넷에서 가져온 (굳이 연결 짓자면) 레디메이드(ready-made)이겠지만, 이 레디메이드 재료들이 <포스트캐피탈>이라는 프로젝트에 들어오면서 기존의 의미 맥락과는 완전히 달라진다는 점이다.


그림 2. ‘포스트캐피탈 이미지 연대표’의 토탈미술관 전시 전경, 연대표는 전시장의 1층 입구에서부터 시작해 지하 전시 공간까지 길게 설치되어 있다. photo by Hans D. Christ

전시의 한 모듈인 ‘포스트캐피탈 이미지 연대표(Time Line)’는 이러한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이미지 연대표’는 무려 100여 개가 넘는 이미지들로 구성된다. 타임라인은 남아프리카의 ‘케이프 타운(Cape Town)’ 신문에 났던 이미지에서 가져왔는데, 첫 번째 이미지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전날인 1989년 11월 8일 수요일의 이미지이고, 마지막 이미지는 911사태가 벌어지기 전날인 2001년 9월10일 월요일의 뉴욕 이미지이다. 그리고 신문 하단에는 이런 메시지가 써 있다. “세상은 하루아침에 변할 수도 있으니, 깊이 있는 정보가 담긴 이 신문을 절대 빼먹지 마세요”라고. 그뿐 아니다. 911의 상징처럼 된 불타는 쌍둥이 빌딩의 건물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우며 레고(Lego)는 말한다. “다시 짓자(rebuild it)” 라고. 그런가 하면 공산주의 뮤지엄(Communism Museum)에서 가져온 미술관 홍보 포스터의 칼 막스(Karl Marx)는 위대한 사상가의 모습이 아니라 옆집 할아버지 같은 내복차림에 발톱을 깎고 있고, 그 아래 “역사와 좀 더 가까워지세요”라는 슬로건이 쓰여있다. 스페인 76대 총리를 지낸 우파의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José María Aznar)의 얼굴과 모핑(morphing) 된 체 게바라(Che Guevara)의 얼굴은 컨버스(Converse) 운동화 광고로 쓰였고, 서핑보드를 든 넬슨 만델라(Nelson Rolihlahla Mandela)의 모습 아래에는 “당신이 떠벌려 이야기하지만 않는다면, 인생이 좀 더 편안해질 수도 있습니다”라고 쓰여있다. 피로 만들어진 미키마우스를 그리고 있는 유니세프의 광고포스터를 비롯해 언뜻 그냥 스쳐갈 수 있는 광고이미지들이지만, ‘이미지 연대표’에서 재구성된 이미지들은 관객의 발걸음을 좀처럼 놓아주지 않는다.


그림 3.  ‘포스트캐피탈 이미지 연대표’ 중, 911과 연계한 레고의 광고 이미지, creative commons contents


그림 4. ‘포스트캐피탈 이미지 연대표’ 중, 체 게바라와 칼 막스의 이미지, creative commons contents


그림 5. ‘포스트캐피탈 이미지 연대표’ 중, 피로 만들어진 미키마우스의 이미지, creative commons contents

이 프로젝트에서 또 하나의 흥미로운 지점은 오픈 아카이브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사진뿐 아니라, 전시되어 있는 모든 자료는 인터넷에서 가져왔다. 작가는 10여 년이 넘게 인터넷 검색을 통해 수집한 모든 자료를 관객들에게 공개했다. 공개했을 뿐 아니라, 관객들이 자유롭게 아카이브를 확장시키고 재배열하게 했다. 결과적으로 전시가 거듭될수록 자료의 양은 더욱 방대해진다. 실제로 처음 프로젝트를 접한 관객들은 자신의 외장하드에 모든 자료를 다운받기를 주저한다. 저작권이니 뭐니 하는 것들로 괜스레 분란만 일으키는 것은 아닌가 조심한다. 하지만 작가의 프로젝트 안에서 이것은 보장될 수 있으며, 이미 독일에서는 그에 관해 변호사와도 논의하고 문제없음을 확인했다고 한다.

<포스트캐피탈>을 요약하자면, 신이 만들지도 않은 것들을 모아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그것을 또 관객들에게 개방시키고, 익숙하게 보아 넘겨왔던 것에 대해서 계속해서 딴지를 거는 프로젝트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에서 익숙하게 보아 넘겨왔던 것에 대해 딴지 거는 힘은 아마도 오늘날 많은 창의적인 산업에서 주지해야 할 지점인지 모른다. 그저 단순하게 꾸미고 치장하는 것이 현대예술, 사회적 디자인의 역할이 아니기에. 너무나 많은 이미지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지금, 우리에게는 현상 뒤에 가려진 구조를 들추어 내는 힘, 그 힘이 무엇보다 필요하지 않을까?

www.postcapital.org


신보슬_큐레이터

10년도 넘게 미디어아트라는 녀석과 부대끼며 살았다. 그 사이 많은 전시와 작품을 만나며, 일상에 많은 새로운 생각과 경험을 해왔다. 이제 차곡차곡 쌓인 그 신나고 즐거운 경험들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도 좋겠다 싶었다. 그래서 미디어아트라는 것이 테크놀로지에 매료된 몇몇 괴짜들의 장난감이 아니라, 기술과 예술, 나아가 사람이 더불어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각성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Related Images:

Share

Comme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